본문으로 바로가기 GNB메뉴 바로가기

대전광역시의회 DAEJEON METROPOLITAN COUNCIL

×

대전광역시의회 DAEJEON METROPOLITAN COUNCIL

맨위로 이동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블로그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전체메뉴

시민중심의 열심히 일하는 의회

> 참여마당 > 진정/민원접수 > 진정/민원접수

  • 페이스북
  • x
  • 밴드
  • 카카오스토리
  • URL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진정/민원접수

본문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시는 민원은 "대전광역시의회 진정서 등 처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여 처리되며 처리기간은 30일 이내입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작성하여 주십시오.
청소년들을 위한 공유경제 정책을 제안합니다 김** 2016-11-02 677

안녕하세요
저는 대전제일고 공유경제동아리 <쉐어스쿨> 대표인 2학년 김기연입니다. 저희 동아리는 체육대회때 입는 반티가 옷감의 질이나 튀는 디자인 때문에 한번 입고 방치되는 문제를 해결해보려는 의도에서 작년에 창단된 동아리입니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중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6장의 반티를 맞추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적·정신적·경제적 비용의 낭비와 이산화탄소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반티를 서로 공유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티 공유’를 목표로 창단한 저희 동아리는 교내에서 공유경제에 대한 홍보활동을 펼쳐 학생들이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기증받아 <쉐어박스>에 정리해 놓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들께서도 자습서와 문제집 등을 기증해주셨는데, 학생들이 <쉐어박스>를 애용하고 있어서 뿌듯합니다. 저희들의 활동은 대전의 내일신문에도 실렸고, 교육청 블로그에도 소개되었습니다 (관련 기사 첨부합니다)

https://webzine.localnaeil.com/ecatalog5.asp?Dir=8580
http://m.blog.naver.com/djenews/220849621047

<쉐어박스>에 대한 관심이 높은 걸 보면서 저희 동아리가 원래 목표로 했던 반티 공유를 본격적으로 추진해보고 싶어졌습니다. 저희 학교 학생들만이 아니라 대전의 청소년들이 반티 뿐만 아니라 교복, 체육복, 자습서, 학용품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저희들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교육청에서 도움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희들이 반티를 비롯한 청소년 물품 공유를 추진해보려고 작년에 유성구 자원봉사센터의 청소년 아이디어 창안대회에 응모해 대상을 받았지만, 정책으로 시행되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저희 동아리에서 여러 차례 회의를 거쳐 3가지 정책을 구상했습니다.

첫째, 공유경제 및 사회적 경제(나눔교육)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전시나 교육청에서 공유경제와 사회적 경제에 대한 기본교육과 실제 공유아이디어를 청소년들이 짜보고 전문가의 멘토링을 받는 심화교육을 실시해주셨으면 합니다.

둘째, 공유경제 관련 동아리 지원 사업을 펼쳐 학교에서 공유경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셨으면 합니다. 대전시나 교육청에서 공유경제 관련 동아리를 창단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과 인적 지원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적 지원을 통해 저희 학교처럼 <쉐어박스>를 설치해 교내에서 먼저 공유경제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으면 합니다. 또한 공유경제는 학교 선생님들께서도 어려워하시는 분야이기 때문에 공유경제 관련 기업과 결연을 맺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인적지원도 해주셨으면 합니다.

셋째, 청소년들만의 공유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셨으면 합니다. 대전시나 교육청에서 청소년 공유앱을 구축해 주시고, 청소년 전용시설 (Wee Can센터 등)에 공유카페를 설치해 청소년들이 카페를 이용하면서 물품이나 장소, 아이디어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셨으면 합니다.

저희들이 제안한 정책들이 꼭 실현되어서 미국 타임지에서 2011년에 ‘세계를 바꿀 10가지 아이디어’로 선정한 공유경제가 청소년들의 생활 속에 잘 자리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청소년들이 유형의 자산(공간· 물건)과 무형의 가치(신뢰·협력·참여·소통)를 서로 공유하면서 청소년들의 시각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창의적인 공유경제 모델들을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대전시의회에서 잘 검토해보시고, 정책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꼭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대전제일고 공유경제동아리 대표 김기연 올림-
답변 진정민원 회신
1. 우리시의회 의정에 깊은 관심을 갖고 참여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제출하신 민원에 대한 우리시의회 소관 상임위원회(교육전문위원실)와 시 교육청 관련부서(중등교육과)의 검토결과를 다음과 같이 회신합니다.

- 다 음 -

○ 공유경제 교육과 관련하여 일부 학교에서 전문가를 초청하여 경제교육 특강을 실시하고 있으며, 공유경제 심화교육의 경우 학교 단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 사항으로 검토를 하겠으며

○ 시 교육청에서는 창의학습 관련 동아리 예산 지원 사업으로 일선 학교에 동아리 활동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학교 차원의 지원이 되도록 건의하시기 바라며, 내년도 동아리 지원 사업에 공유 경제 동아리에 대해서도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안내 등 방안을 검토하겠음

○ 공유 경제 관련 자원 재활용 실천 활동 네트워크는 주민센터 등에서 범국민 차원으로 운용되고 있는바 교육청 차원의 별도 네트워크 구축은 점진적으로 검토할 예정임.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교육청 중등교육과(☏480-7642)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쓰기

현재 0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맨위로 이동